Netgear의 M4100-12GF를 바탕으로 게이트웨이를 설정해본다.
설정할 것은 게이트웨이 기본정보, VLAN이다.
1. CLI 설정
매뉴얼을 잘 따라하면 된다.
공식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설치 가이드를 따라 스위치를 설정한다.
매뉴얼대로 스위치에 DHCP를 사용하는 PC를 물려 169.254.100.100로 접속하거나 USB를 통해 콘솔에 접속하면 된다.
필자는 새로운 경험을 해보는 겸 콘솔을 이용해 스위치를 설정하였다.
매뉴얼에 나온대로 통신설정을 한 후 콘솔을 통해 스위치의 네트워크를 설정한다.
매뉴얼에는 콘솔 연결에 ZTerm을 사용하는데 설정 당시 필자의 Mac OS를 지원하지 않아 minicom을 사용했었다.
글을 쓰는 지금(23.11.13)에도 minicom은 최신 OSX를 지원하니 이걸 사용해 접속하면 된다.
콘솔 접속 후에는 ezconfig 커맨드를 통해 스위치를 간단히 설정할 수 있다.
2. 둘러보기
웹브라우저를 통해 위에서 설정한 스위치 IP에 접속하면 팬시한 GUI 화면이 나온다.
척 보기만 해도 설정할 수 있는 게 많아 보인다.
한편, DNS를 설정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눈물을 머금고 기능을 포기한다.
그 밖에도 라우팅이나 QoS, 모니터링, 관리 등 여러 유용한 기능들이 내장되어 있다.
GUI 사용 시 한 가지 중요한 점은 스위치 설정 후 반드시 설정을 저장하는 것이다.
별도로 설정을 저장하지 않으면 설정은 메모리에서만 동작할 뿐 ROM에는 저장되지 않는다.
그래서 정전 이후 룰셋이 초기화돼 디버깅에 시간을 많이 쏟은 적이 있다.
반드시 설정 저장기능(Maintenance 탭)을 통해 설정을 ROM에 저장하자.
3. VLAN 설정
여러 VLAN 환경을 고려해본 결과 Port-based VLAN을 적용하기로 결정하였다.
처음엔 IP Subnet-based VLAN을 생각했으나 기존 구성처럼 포트 단위로 통신을 격리하는 게 좋다고 판단하였다.
1번 포트는 업링크, 2번부터 5번 포트까지는 4개의 서브넷에 각각 할당하였다. (VID는 임의로 할당)
각 서브넷별로 라우터 주소를 다음과 같이 [서브넷 주소 – 2]로 설정하고 라우팅하였다.
(편집하다보니 255.255.255.248에 대응하는 IP 주소를 잘못 입력했다. 적당히 수정해서 이해하자)
4. DHCP 설정
DHCP를 설정할 수 있으나 현재는 DHCP를 운영하지 않고 있다.
다음 화면에서 간단하게 DHCP를 설정할 수 있다.
5. 스위치 연결
이제 각 포트별로 스위치를 연결하여 인터넷을 사용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