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8s 구축] 5. k9s 관리 도구 설치

k9s는 k8s CLI 방식의 관리도구로, k8s 대시보드와 더불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관리도구이다.
더 설명할 필요도 없이 바로 시작해보자.

1. 설치

본인의 서버 사양에 맞춰 최신 버전의 k9s를 설치한다. [k9s]
현재(25.04.12) 시점으로는 v0.50.2가 최신 버전이다.

curl -sL https://github.com/derailed/k9s/releases/download/v0.50.2/k9s_Linux_amd64.tar.gz | sudo tar xfz - -C /usr/local/bin k9s

2. 사용

사용법은 매우 단순하다.

$ k9s

일일이 사용방법을 하나씩 설명할 필요도 없이 ?를 입력하여 사용법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다.

그 외에 많이 사용되는 명령어를 정리해보았다.

리소스 탐색
  • :pods 또는 :po – 파드 목록 보기
  • :deploy 또는 :deployment – 디플로이먼트 목록 보기
  • :svc – 서비스 목록 보기
  • :nodes – 노드 목록 보기
  • :configmaps – ConfigMap 목록 보기
  • :secrets – Secret 목록 보기
  • :namespaces 또는 :ns – 네임스페이스 목록 보기
  • :ingress – 인그레스 목록 보기
  • :events – 이벤트 목록 보기
  • :jobs – 잡 목록 보기
  • :cronjobs – 크론잡 목록 보기
  • :statefulsets – 스테이트풀셋 목록 보기
리소스 작업
  • l 또는 :logs – 선택한 파드의 로그 보기
  • s 또는 :shell – 선택한 파드에 쉘로 접속
  • d – 선택한 리소스 삭제
  • r – 선택한 리소스 재시작
  • Enter – 선택한 리소스의 상세 정보 보기
  • e – 파드의 이벤트 상태 보기
  • f 또는 :port-forward – 포트 포워딩

예를 들어 특정 deployment를 재시작하고싶은 경우 :deploy 후 deployment를 선택하여 r을 입력하면 된다.

특정 deployment를 스케일링하고싶은 경우에는 :deploy 후 deployment를 선택하여 s를 입력하면 된다.

아주 편리한 관리도구이다.

Series Navigation<< [k8s 구축] 4. Let’s Encrypt와 bind DNS 서버를 이용한 와일드카드 SSL 적용 및 reflector 자동 배포[k8s 구축] 6. k8s 대시보드 설치 >>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