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탕화면의 논문무덤을 보고나니 서지관리툴의 필요성을 다시 절감했다.
예전에 좀 세련된 툴을 써보겠다고 Mendeley를 썼었는데 이게 여러모로 불편한 점이 있다.
일단 Mendeley는 Elsevier에서 인수해 무료로 서비스되고있는데
Elsevier같은 이익집단이 무료 서비스를 제대로 운영하고 관리할 이유가 없다.
(결국 Elsevier는 2021년 초 Mendeley Mobile App 서비스를 종료했다. [링크])
게다가 Mendeley는 단순 서지관리를 넘어서 PDF뷰어 등의 기능까지 제공하기 때문에 생각보다 무거운 편이다.
하지만 Zotero는 조지 메이슨 대학에서 만든 비영리 프로그램이다.
또한 서지관리만을 목적으로 한 툴이기 때문에 Mendeley에 비해 기능이 단순하고 가볍다.
그래도 단순히 사용만을 생각한다면 Mendeley와 Zetero 둘 다 비슷하다.
특히 가장 중요한 pdf 저장기능에 대해서도 두 툴 모두 클라우드 저장을 지원한다.
하지만 둘 모두 무료 제공 용량이 적다는 문제가 있다.
Mendeley는 2GB를 무료제공하며, 학교와 제휴를 맺은 경우 100GB까지도 제공한다.
Zotero는 300MB를 무료제공하며 월 10$를 내면 무제한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것만 보면 툴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이 가볍고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툴은 Mendeley가 아닐까 싶다.
하지만 Mendeley엔 다른 치명적인 단점이 존재한다.
pdf 외부 저장공간에 대한 선택지를 제공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Mendeley나 Zotero 모두 클라우드 저장공간을 제공하지만, Zotero는 추가로 WebDAV를 통한 개인 저장공간 연결기능을 제공한다.
다시 말해 Zotero를 사용하면 별도로 요금을 내지 않아도 개인 공간에 저장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나는 이미 개인 NAS와 DNS를 가지고 있으면서 WebDAV를 서비스하고 있었기 때문에 몇 분도 안걸려서 Zotero를 사용할 수 있었다.
PaperShip이란 iOS 앱을 통해 패드와 폰에서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었고, 1.2만원으로 Annotation 기능또한 사용할 수 있었다.
물론 Mendeley는 Annotation이 무료로 가능하지만 애초에 Mendeley는 개인 저장소를 허용하지 않으니 논외이다.

Zotero WebDAV 연동
WebDAV가 무언지부터 설명하기엔 너무 방대하니 어떻게 연동하는지만 소개한다.
먼저 본인의 웹서버에서 webdav.conf를 다음과 같이 수정해 외부 접근을 허용한다.
/Zotero는 Alias로 이미 지정되어있다고 가정한다.
(참고로 필자는 WebDAV를 https로 서비스한다. Windows는 https가 아니면 WebDAV 마운트를 허용하지 않는다.)
<Location /Zotero> DAV On SSLRequireSSL Options All AuthType Basic AuthName "Zotero" AuthUserFile /etc/httpd/.htpasswd <Limit GET PROPFIND OPTIONS REPORT> Require user hooni </Limit> <LimitExcept GET PROPFIND OPTIONS REPORT> Require user hooni </LimitExcept> </Location>
그 후 Zotero의 환경설정에서 WebDAV와 연동하면 된다.
이 경우 WebDAV의 경로에 zotero라는 서지관리 디렉터리가 생기게 된다.

iOS에도 동일하다.
여기에 하나 더해서, 필자는 Zotero 경로도 WebDAV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WebDAV로도 SFTP와 같이 마운트해서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어떤 PC에서도 동일한 환경으로 Zotero를 사용할 수 있다.
다음은 필자의 Zotero 디렉터리 구조이다.
Zotero 디렉터리는 프로그램 경로로, 내부의 zotero 디렉터리는 서지관리 경로로 사용하고 있다.

iOS(PaperShip) WebDAV 연동
좀 웃긴 일이다.
앞서 Mendeley가 관리가 덜 될거라고 말은 했지만, 사실 Zotero가 더 관리가 안되고있는 상황이다.
글을 쓰는 지금 기준(20년 8월)으로 Zotero의 최신 업데이트는 16년이다.
하지만 뭐 커다란 이슈가 없으니 그러려니하고 사용하고있다.
일단은 비영리단체에서 운영중인 프로그램이니..
아무 생각없이 PaperShip에서 WebDAV를 연동하려는 사람은 Verify Server 단계에서 실패할 것이다.
왜인지 구글링을 해본 결과 Zotero의 고질적인 버그라고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지관리 디렉터리(필자의 경우 zotero)에 lastsync.txt라는 이름을 가진 빈 파일을 만들어주어야 한다.

참 웃긴 일이다.
안녕하세요. zotero와 ipad를 연동하여 사용하고 싶어 이것 저것 찾던 중에 후니님의 블로그를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혹시 도움을 부탁드릴수 있을까요? 저는 WebDAV 개념에 대해 잘 모릅니다. PaperShip 앱을 알게되어 설치해보니 제 노트북 zotero 폴더 및 파일이 연동이 되어 나타나더라구요. 그런데 파일이 다운로드는 되지 않아서 애를 먹고 있던중입니다. 어떻게 하면 연동이 되는지 여쭤보고 싶어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말씀하시는걸 보니 아이패드와 노트북에 zotero(papership)를 각각 설치하셨지만 연결은 별도로 해주지 않으신걸로 보입니다.
다시 말해, 두 zotero(papership)는 지금 노트북과 아이패드에 따로따로 저장소가 있고 서로 연동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zotero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파일 동기화를 위해 zotero 온라인 저장소와 WebDAV 서버를 이용한 두 가지 동기화 방법을 안내합니다. (https://www.zotero.org/support/sync)
본문에 설명한대로 zotero 온라인 저장소는 무료로 300MB를 제공하며 연간 $20에 2GB, $60에 6GB, $120에 무제한 용량을 제공합니다. (https://www.zotero.org/settings/storage?ref=usb, 21년 1월 기준)
당장 시급하시다면 zotero 웹사이트에 가입하셔서 파일 동기화를 사용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
본문에서 소개하는 WebDAV를 이용한 방법은 별도로 NAS나 로컬 PC에 WebDAV 서버를 운영하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개인 자원을 사용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비용이 따로 들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WebDAV 서버를 직접 서비스해야한다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만약 시놀로지같은 NAS를 사용하고 계시면 시놀로지에서 WebDAV를 지원하기 때문에 편하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게 아니라면 WebDAV 서버를 직접 구축하셔야 합니다.
크게 어렵진 않지만 OS 종류나 네트워크 환경 등의 변수때문에 여기서 설치 방법을 안내해드리긴 어렵습니다.
혹시 진행하시다 어려움이 있으시면 도움 드리겠습니다.
질문드립니다.
저는 파일 저장 디렉토리는 4shared 를 사용하면서, 데이터 저장은 one drive 에 설정하려고 열심히 애쓰고있습니다.
데이터 저장 디렉토리를 고급 환경설정 탭에서 글쓴분과 같이 원드라이브로 설정하여 동기화 하는 것은 성공하였습니다만,
논문을 zotero 에 입력할때 본문 pdf 외에도 해당저널의 웹사이트 스냅샷이 함께 저장 되지 않습니까?
그런데 본문 pdf 는 webdav를 사용하여 zotero storage 에 용량을 차지하지 않도록 해결하였다 해도,
웹사이트 스냅샷 과 서지 정보 등 storage 폴더에 생성되는 다른 파일들이 차지하는 용량은 여전히 zotero 가 제공하는 300mb 에서 소모되는 걸로 보입니다. storage 폴더를 클라우드 폴더로 설정했다고 해두요!!
이런 상황이라면 논문 pdf 는 webdav 서비스를 이용하여 저장해도, 계속해서 서지 정보가 storage 폴더에 쌓이면 언젠가는 300mb 에 다다르게 될텐데요. 글쓴분께서도 그부분은 감안하고 사용 중이신 건가요?
아니면 서지 정보파일도 용량을 차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데 제가 뭔가 오해하고 있는 부분이 있는걸까요?
안녕하세요.
Zotero 웹 스토리지는 첨부파일(pdf)을 제외한 모든 데이터 동기화 기능(data syncing)을 무제한(무료)으로 제공합니다.
고로 말씀하신 스냅샷이나 서지 정보 등도 비용없이 무제한으로 저장하실 수 있습니다.
(https://www.zotero.org/support/sync)
다만 말씀하신 문제는 파일 동기화 스토리지로 webdav를 사용하지 않으신 게 원인으로 추측됩니다.
현재 zotero는 zotero 웹 스토리지나 webdav만을 파일 동기화 스토리지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고로 그 밖의 서드파티 프로그램(4shared, onedrive 등)은 사용하실 수 없거나, 사용하시더라도 정상동작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zotero는 AGPL v3 라이선스를 따르는 오픈소스 프로젝트입니다. (https://github.com/zotero/zotero)
만약 프로그램을 수정하실 수 있다면 소스코드에서 서드파티 프로그램에 대한 파일 동기화 기능을 추가해 사용하셔도 무방하실 것으로 생각합니다.
*혹시 몰라 제 zotero 웹 스토리지를 확인해보니 웹 스토리지는 전혀 사용되고 있지 않습니다.
오래전 글이라 걱정했는데 빠른 응답 감사합니다!
제가 오해했습니다. 스냅샷이나 서지정보에 대한 용량은 zotero 웹 스토리지 용량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몰랐습니다! 4shared 를 통해 webdav 서비스를 사용하면 될거 같습니다.
2번째 질문이 있는데요, 글쓴이께서는 본문 pdf sync를 위해 개인 NAS 에서 제공하는 webdav 를 사용하시면서, 서지정보등 storage 폴더도 통째로 nas 에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한다고 하셨습니다.
서지정보가 zotero 제공 web storage 의 용량에 카운트되지 않는다면, storage 폴더를 통째로 nas 를 통해 연동하는 것에는 어떤 이점이 있나요?
가령 제가 pc를 3대 a,b,c 사용한다고 했을 때, 본문 데이터 저장만 webdav로 해두면 각각 pc가 필요시마다 sync 를 하면서 storage 폴더를 서로 동일하게 유지할텐데요. 아예 storage 폴더를 nas 에 넣어두고 사용하면 (1) 각 pc에서 개별적으로 용량을 차지하지 않는다 (2) storage 폴더가 nas단에서 항상 최신화 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sync로 인한 시간이 절약된다 는 장점이 떠오르는데 이것 말고 다른 장점이 있는지요? zotero 홈페이지에서는 cloud 드라이브에 data directory 를 위치시키는 것을 데이터베이스 corruption 위험이 있다며 피할 것을 권고하기도 했구요. 이에 대한 궁금증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4shared 를 webdav 서비스로 사용할수 있다는 부분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였습니다.
https://www.zotero.org/support/kb/webdav_services (zotero 에서 사용가능한 3rd-party webdav 서비스)해당 링크나,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t=true&blogId=betweengnk&logNo=220496451466 (4shared로 webdav 연결하여 사용하는 국내 이용자분)
스팸댓글을 막겠다고 URL 댓글은 승인과정을 거치게 만들어놨었더니 이런 문제가 생겼네요.
덕분에 댓글 기능을 개선할 기회가 생겼습니다.
4shared에서도 webdav 기능을 제공하는 건 저도 처음 알게 됐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파일 저장위치 관련해서도 제가 설정을 잘못한 게 맞아 보입니다.
말씀하신대로 찾아보니 서지 정보는 반드시 zotero sync만으로 관리하는 게 좋아보입니다. (https://www.zotero.org/support/kb/data_directory_in_cloud_storage_folder)
(zotero의 sqlite DB 접근에 대한 동시성 제어 문제로 사료됩니다. 다행히 전 동시성 제어 문제가 생기지 않는 상황에서 zetoro를 써왔기에 문제가 생기지 않은 듯 합니다.)
곧 관련 내용을 수정해 올리겠습니다.
좋은 댓글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